30대 신혼부부로 이제는 늦으면 안 되겠다는 마음으로 산전검사를 신청했다.
하루에 5명만 신청을 받아서인지 정말 오래 걸렸다. 신청은 5월에 했는데 7월에서야 검사를 받는..!
(가끔 취소하시는 분들이 있어서 날짜를 변경할 수도 있는데, 쉽지 않다😢)
부부가 각자 따로 신청을 해야 하는데, 혹시 검사를 같이 하려면 더더욱 2개월 전에 신청한다고 생각해야 할 것 같다.
이렇게 다들 임신준비를 많이 하시는구나 하는 생각을 하면서 다녀왔다.
https://seoul-agi.seoul.go.kr/
서울시 임신·출산 정보센터
건강한 임신부터 행복한 출산까지 임신∙출산 지원서비스 웹/모바일로 신청하세요
seoul-agi.seoul.go.kr
서울시는 사이트가 통일되어 있나보다. 서울시 임신/출산 정보센터 사이트에 가입하고 신청했다.
경기도로 주소지가 되어있는 남편은 날짜가 맞지 않아 같이 신청하려다가, 경기도에서 따로 검사받기로 했다.
경기도는 사전에 신청하는 사이트가 또 다르다. 지역마다 신청하는 방법이 다르니 잘 확인하고 신청해야 하는 것 같다.
* 검사 받을 때 챙겨갈 것!
- 용산구민 : 신분증 (용산구 주소 기재 서류)
- 용산구 직장인 : 신분증, 중랑구 주소 기재 명함 or재직증명서
- 결혼예정인 부부 모두 용산구민 : 신분증, 혼인증빙자료(청첩장, 예식장계약서)
- 부부 중 한 명만 용산구민 : 신분증, 혼인증빙자료 (가족관계증명서, 혼인관계증명서)
그리고 여성의 경우, 생리 끝나고 최소 4일~7일 이후에 방문하는 게 좋다고 한다.
생리 중 또는 생리 끝난 지 얼마 안 되었을 경우 혈액검사 결과가 부정확할 수 있다고 한다. 시간 내서 검사받으러 가는 만큼, 날짜 꼭꼭 챙기는 게 좋다.
서울시 용산구 보건소에 도착하면 1층에 있는 "모자보건실"을 찾아가면 된다.
지하 1층으로 들어갔는데 입구에서 안내하시는 분께서 어디 왔냐고 물어보시며 모자보건실 위치를 친절하게 설명해 주셨다. 모자보건실이 아주 안쪽에 있는데, 안내해 주시는 분들이 어리바리 말해도 눈치 딱 채고 알려주신다. 😍😍
확인하는 서명하고 검사결과받을 메일주소 등록하고 하면 완료!
검사는 지하 1층에 있는 9번 x-ray, 6번 피검사로 가면 된다고 하셨다.
위치 헷갈리고 갈까 봐 걱정했는데, 지하 1층에 눈에 아주 띄게 여기저기 붙어 있어서 걱정 없다.
임신가능성이 있는 분들은 x-ray 안 찍으니 미리 이야기하자.
온라인으로 신청할 때 이미 설문조사를 해뒀기에, 검사자체는 아주 빠르게 끝났다.
이제 결과는 1주일 후에 e-보건소에서 확인하면 된다고 한다.
e보건소 공공보건 포털 : https://www.e-health.go.kr/
e보건소 공공보건포털
보건복지부 운영 온라인민원 서비스,보건증 등 제증명 발급, 의료비지원, 동네보건소정보, 보건교육신청 등 안내
www.e-health.go.kr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조금 걱정도 되지만, 앞으로 운동도 열심히 하면서 체력관리를 잘해야지:)
그리고 이렇게 용산구에서는 엽산 3개월치와 가방, 핸드워시를 받았다.
검사 결과를 기다리며, 앞으로 꾸준히 복용해야겠다.